티아고의 재테크/금융 과 주식 정보

기업이 주식 시장에 첫 발을 들이 밀때 <기업공개 그리고 상장>

티아고 2022. 2. 14. 17:46
반응형

기업공개의 뜻

어느 특정 기업이 주식 시장에 상장하려고 기업의 재무정보 등을 시장에 공개하는것을 뜻한다. 각나라의 주식 시장마다 상장할때에 맞아 떨어져야 하는 일정의 조건이 있으며, 이 조건들을 어느정도 충족해야지만 기업공개후 상장을 할수있다. 

 

실제로 따지고 보면 소액 투자자들 즉 일반인들에게 주식을 매도하고 매수하며 거래를 활성화 하고 더 많은 투자금을 끌어 모으기 위한 행위라고 볼수있다.

 

사진 출처 https://www.pexels.com/ko-kr/

기업공개는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 질까?

우선 가장 먼저 해야할 것은 다름 아닌 대표 주관회사 즉 증권사 선정 그리고 예비 심사이다. 이 기간 동안에는 몇개월간 회사의 재무정보, 영업 과 영업이익, 지배구조 점검 외에도 많은 과정들이 이루어진다. 사실상 이 과정들중 뭐라도 잘못되었는데 처리가 안된다면 상장이 힘들어 진다. 

 

자 이제 어느정도 심사도 다 끝냈고 이제 상장만 하면 되기는 하는데 바로는 안한다. 공모주 라는게 있는데 공모주는 기업이 청약과정을 통해 주식을 더 배분하고 투자자들을 모으는 과정중 하나이다. 이때 기업들은 더 빨리 상장하기전에 많은 투자자들을 모을수 있고 투자자들은 공모주의 특성상 웬만한 주식들은 시장가 보다 더 싸게 나오기 때문에 수익을 낼수 있다. 

 

공무주 청약이 끝나고 기업공개 즉 상장일이 오면 상장을 하게 된다. 크고 인기있는 종목에 경우 많은 투자자들이 몰린다는 특징이 있다. 다만 상장 첫 날에는 매도가 더 많을때가 많은데 그 이유는 공모주의 특성상 공모주 청약에 성공한 투자자들중 빨리 시세차익을 낼려고 매도를 하는 이들이 많기 때문이다. 

 

사진 출처 https://www.pexels.com/ko-kr/

기업 시장 그리고 개인 모두에게 좋은 기업공개와 상장

주식 시장에 상장한다는건 기업인으로써는 기쁘지 아니 할수 없는 일이다. 애당초에 주식시장에 상장을 하기 위해 심사를 신청 할수 있다는거 자체가 보통 회사들 보다는 차원이 다르게 꾸준한 성장을 해왔다는 증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또한 개인 투자자들중 자신이 좋아하는 기업을 찾았는데 상장을 안 한 경우가 가끔씩 있을 때가 있다. 이런 개인 투자자들에게도 투자의 기회를 주며 더 많은 회사가 상장을 할수록 주식시장이 더 활발해 진다는 장점이 있다. 

 

오늘은 기업공개의 이유와 의미 그리고 상장 과정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시간에는 기업공개와 상장의 반대되는 의미인 주식 시장의 공포 상장폐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