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버리지란?
투자를 할 때 자신이 보유한 자본만 이용해 투자를 하는 것이 아닌 다른 개인 혹은 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아 투자를 하여 이익을 챙기는 투자 방법이다. 레버리지란 말 자체가 이익을 극대화시키는 뜻이 있으며 "지렛대 효과"라는 뜻으로도 쓰인다. 가령 무거운 무언가를 들어 올릴 때 지렛대를 이용하여 사용되는 힘을 줄이는 지레의 법칙을 생각하면 더 쉽다.
레버리지의 시작이자 끝 대출
대출이야 뭐 이미 다들 잘 알고 있을테니 간단하게 설명하면 그냥 돈을 빌리고 원금에 이자를 더 해 갚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우선 이 대출이 레버리지의 기초가 되는 이유 자체가 앞서 설명한 남에게 돈을 빌려 투자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대출이 나오는 금액 그리고 금리 또한 개개인마다 제 각각이기에 정말 레버리지 투자를 생각한다면 자신의 신용점수, 주거래은행, 대출받을 수 있는 금액과 금리 그리고 상환방식에 대해 잘 알아야 한다.
레버리지는 큰 효과를 가져다주는 투자 방식이 아니다.
어느 날 10만 원을 어떤 주식에 투자하기로 마음 먹었고 1달뒤 100만 원이 되어있다면 수익률은? 당연히 900%다. 자 그럼 여기에 개인적으로 욕심을 내어 예수금 10만원 + 대출로 받은 40만원 (금리는 연 2%)라고 가정해 보자 자 그럼 이 주식이 100만원이 되었다면 나의 수익은? 90만 원? 당연히 아니다 우선 대출금 40만 원과 한 달 이자 약 1040원 그리고 예수금을 모두 빼면 수익은 498,600원 그러면 이걸 수익률로 환산하면 거의 498프로가 된다. 욕심내어 돈을 더 넣고 투자해도 그 이상의 수익을 바라려면 주가도 그만큼 더 높게 올라야 한다. 또한 손해를 볼 때도 막심한 손해를 주는 게 레버리지 투자이다.
두배로 잃는 획기적인 방법
앞선 방식과 똑같이 투자를 한다고 가정해 보자 그런데 이번엔 주식이 5만 원으로 떨어졌다면 손해는 전자의 경우 50% 이지만 후자의 경우는 뭐 원금만 본다면 당연히 50%다 근데 우리에겐 갚아야 할 대출 40만 원 그리고 대출 이자도 있다.
이런 모습만 봐도 레버리지 투자는 하이리스크 투자 방식이라고 볼 수 있다.
주식에서 레버리지 투자 방법?
이걸 설명하긴 쫌 싫지만 그래도 레버리지라는 것에 대한 설명이니 일단 써야겠다. 우선 앞서 말했던 은행으로부터 대출 상담 및 확정 후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그렇지만 매번 은행 갈 수도 없으니 더 간편한 방법들이 존재한다.
첫 번째로 미수거래. 증권 앱을 보면 보통 한 종목을 매수할 때 현금거래로 처리를 하나 다른 버튼인 미수거래를 누르고 주문하면 예수금을 쓰지 않고 매수가 가능해진다. 물론 이 미수거래의 조건도 있는데 우선 일정 비율의 증거금, 3일 이내에 입금이다. 두 번째 항목을 지키지 않을경우 자동으로 반대매매가 진행되며 약 30일간 미수거래가 정지된다.
두번째 방법은 신용거래이다. 사실 미수 거래와 거의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우선 증거금률이 존재하지만 종목마다 기준이 다르며 상환기간도 제 각각이다. 또한 미수거래에 비해 비교적 긴 상환기간이 특징이며 이 상환기간 동안 만일 주가가 로스컷 이하로 떨어질 때 기관에서 원금을 회수하지 못할 가능성을 보고 2 영업일 후에 강제 매매를 진행한다.
사실 이외에도 많은 대출 방법이 있지만 전에도 말했듯 아무 데나 빌렸다간 뭐 투자는 본인 책임이니 말은 않겠다.
신용점수=당신의 금융 신뢰도
작년 2021년 신용등급제가 신용점수제로 바뀌게 되었다. 1~10등급이었던 게 1000~0점으로 바뀌게 된 것이다. 신용점수는 누가 판별하고 점수를 줄까? 나라마다 신용에 관련하여 다른 기준이 있겠지
thiago-blog.tistory.com
무조건 레버리지 투자가 나쁜 건 아니다
지렛대 효과라고 불리는 게 이유가 괜히 있는 게 아니다. 그렇지만 지렛대 역시 받침점을 어디에 두냐에 따라 작용하는 힘이 달라지듯 투자 역시 그러하다. 우선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건 대출의 상환 방식과 금리다. 자신이 뭘에 투자 금액 외에 실제로 벌어들이는 돈이 얼마인지 (고정수입을 뜻한다. 오늘 받은 인센티브, 야간수당 그 외에 다른 것들은 절대 고정수입이 아니다)를 파악하고 위험에 대비해 투자한다면 절대로 나쁜 투자 방법이 아니다. 좋고 확실한 투자처라고 확신이 있으면 감당 가능한 수준의 레버리지 투자라면 개인적으로 찬성하는 편이다.
오늘은 빚을 내는 투자인 레버리지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다음 시간에는 이 대출을 갚는 3가지 방법들에 대해 알아보자.
'티아고의 재테크 > 금융 과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가지수를 추종하는 <인덱스펀드> (3) | 2022.03.09 |
---|---|
대출은 어떻게 갚을까? 3가지 대출 상환 방법 (2) | 2022.03.08 |
ETF와 비슷해 보이는 <ETN> (2) | 2022.03.06 |
어떤 제품을 만들때 쓰이는 재료 <원자재> (6) | 2022.03.05 |
실시간 매매가 가능한 펀드 <ETF> (3) | 2022.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