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4

기업가치를 평가하는 또다른 지표 <EV/EBITDA>

EV 와 EBITDA는 무엇인가? EV의 뜻은 Enterprise Value의 앞 철자를 따온 것으로 기업가치라는 뜻이다. 한 기업의 시가총액에 순차입금을 더한것이 EV라고 할수 있는데 여기서 순차익금은 전체차입금에서 현금성자산을 뺀 가격으로 현재 갚을수 없는 순수한 빚이라고 할수있다. 예를들어 시가총액이 200억 전체차입금이 70억이고 현금성자산이 20억이면 이 회사의 EV는 250억이 되는것이다. EBITDA: Earning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이자,법인세, 감가상각을 비용하기전 영업이익을 뜻한다. 감가상각을 쉽게 설명할수 있는건 전자기기다. 오늘산 핸드폰은 오늘이 제일 비싸다라고 설명할수 있다. 정말 특별 한정판 같은 제..

이자에 따른 다양한 채권의 종류

채권의 종류는 이자 지급 방식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한다. 이자를 나눠서 지급 하기도 한 번에 몰아서 지급하기도 하며, 만기까지의 금액을 미리 선정하고 선지급한 후 만기에 액면금액을 지급받는 채권도 있다. 이표채 만기 1년 연 8% 3개월 이표채 이다. 이표채의 특징은 지급되어야 할 이자를 그 기간이 되면 몰아주는 게 아니라 일정 기간 동안 나눠서 지급하는 방식의 채권이다. 위 그래프를 보면 매 3개월마다 200원이라는 돈을 지급받고 마지막 12개월 쨰 되는 날에는 10,200원을 지급받았다. 즉 이 상품의 액면가액은 1만 원이고 금리가 8%이니 총이자는 8백 원이며 이걸 4번에 나눠서 받았으니 매번 이자를 지급받을 때마다 200원이라는 이자가 입금이 된 것이다. 대표적인 이표채로는 국고채, 산금채, 한전..

단리 와 복리 서로 다른 이자 지급 방법

단리와 복리 많이 들어 본거 같은데 다른 점이 뭘까? 우선 단리 와 복리를 알기 전에 금리를 다시 한번 집고 넘어가 보자. 금리 원금에 붙는 이자율이다. 근데 이게 예를 들면 2% 금리라고 해도 단리냐 복리냐에 따라 다른 이자가 붙는다. 단리 이자를 계산할 때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계산한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금리는 이 단리를 생각한다 대충 만원의 2%라고 하면 2백 원이라고 생각하는 그런 것이다. 복리 첫 이자를 원금에 더하고 그다음 이자를 계산할 땐 (원금+이자)를 원금으로 보는 방식이다. 즉 같은 금리가 붙는 다고 해도 복리가 훨씬 받는 이자가 높다고 보면 된다. 꼴랑 몇 프로 안 되는 금리들이 많지만 이 복리라는 게 기간과 금액 그리고 월복리 인지 연복리 인지 재투자 기간과 금액등에 따..

재테크의 기본이자 기초 예적금

오늘 주제는 드디어 처음으로 쓰는 재테크 콘텐츠입니다. 재테크 영어로는 간단하게 investment라고 불리는데요. 간단하게 말해 가지고 있는 자금을 통해 자산이나 자본을 만들어 수익을 내는 행위를 말합니다. 투자라고도 하지요 투자라는 방향에는 위험성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과 안전성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위험성 투자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손실도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쉽게 설명하자면 high risk high return입니다. 안전성 자산은 그 반대겠지요? 서론은 여기까지 하고 오늘 소개해드릴 안전성 자산 예적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위 사진을 보면 어느 장소가 떠 오르시나요? 네 맞습니다 은행입니다 은행이라는 기관은 주로 금융업무를 담당하는 곳으로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