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금 4

엥 주식이 남았네? <실권주>

실권주 유상증자에서 주주배정방식을 통해 배정된 주식을 주주들이 청약을 하지 않거나 혹은 그에 대한 지불을 하지 않을 경우 남은 주식을 말한다. 주주배정방식은 주주들에게 우선권이 부여되기 때문에 주주가 아닐 경우에는 첫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된 주식을 매수할 수 없다. 이때 주주가 아닌 사람들이 노려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주들이 포기하고 남은 주식 즉 실권주이다. 새 주식을 살 수 있는 권리를 신주인수권이라 부른다. 주주배정방식에서 신주는 어떻게 배분이 될까? 우선 신주를 발행하기전에 기존 상장된 총 주식수를 약 1백만 개라고 가정해보자. 기업이 증자 절차를 통하여 발행하기로 한 신주는 총 10만 개다. 이때 1주당 발행 주식수는 0.1이다 그렇다면 만약 보유 주식의 수가 20만 개라면 약 2만 개의 신주를..

돈이 쫌 필요한데? <유상증자>

유상증자 신주 발행을 통하여 주주들로부터 투자를 받아 자본금을 늘리는 것. 이때 유상이라는 말 의미 그대로 주주들에게 주가에 따른 금전적 투자를 받는다. 유상증자는 언제 할까? 보통 두가지의 경우가 있는데 첫 번째는 기업이 돈이 없거나 부족해서 그리고 돈이 필요할 때이다. 기업이 돈이 없는 상황이라니 회사가 망한 게 아닐까 싶지만 망한 거 까진 아니다. 뭐 그냥 기업이 회계를 잘못했다고 봐도 된다. 회사를 운영하다 보면 필요로 나가는 자금이 몇 가지가 있는데 우리가 살면서 고정지출이 나가는 것처럼 회사도 고정 지출이 있기 마련이다. 기본적인 회사의 고정지출에는 인건비와 운영비가 포함되어 있은 운영자금 그리고 부채를 갚기 위한 채무상환이 있다. 정말 팔 거 다 팔고 갚을 거 다 갚았는데 운영자금이 모자라면..

자본금을 늘리자 <증자>

증자란? 기업이 주식수를 늘려 자본금을 확보하는 행위이다. 반대의 의미로는 감자가 있으며 증자 또한 유상감자와 무상감자가있다. 다양한 증자 방식 주식을 추가로 발행을 할때에는 여러 가지 방식이 있다. 어떤 유형으로 추가 발행되는지 여부에 따라 투자자 들에게 더 큰 이익을 가져다 주기도 조그마한 이익을 가져다 주기도 한다. 신주배정방식 3가지 방식 (주주배정,제3자배정, 공모방식)으로 구분한다. 우선 주주배정의 경우 주주는 원칙적으로 신규 발행되는 주식을 보유한 주식에 비례하여 받을 권리가 있으므로 그에 따른 보유에 따라 배분하는 방식이다. 제3자 배정의 경우 경영상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주주외의 사람들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공모방식은 두가지로 나뉘는데 우선 주주에게 우선 청약권을 부여..

카테고리 없음 2022.02.19

보상은 해줄게 <유상감자>

유상감자 기업이 감자를 할 때 주주들에게 보상을 주는 감자를 뜻한다. 유상감자를 할 경우 자본금이 감소하는 동시에 주주들에게 보상을 하기에 자본도 감소한다. 이런 이유를 통틀어 유상감자는 실질적 감자라고 부른다. 자본과 자본금은 어떻게 감소하는 걸까? 우선 기본적으로 감자의 기본 개념을 알면 왜 자본금이 감소하는지 알 것이다. 바로 주식을 감소시키는 과정을 거치기에 그만큼 자본금이 감소하는 것이다. 또한 주주들에게 보상을 하게 되면 결국 자본이 감소하는것이다. 결론적으로는 주주들에게 자본금과 이익을 돌려주는 행위를 하는것이다. 더 확실하게 예시를 들어보자 현재 회사의 자본금이 약 1억 원이 있으며 총 발행 주식수는 10만 개다 그럼 당연히 액면가는 1천 원이 된다. 여기서 현재 주가를 4천 원이라고 가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