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 4

roe과 roa: 돈 얼마 들이고 얼마나 잘 벌었어?

주식을 고를 때는 기업이 어떤 형태의 사업을 하고 그 사업이 유망한 지, 재무제표를 통해서 영업을 통해 수익은 잘 얻고 재무상태는 안정적인지 보는 건 너무나도 중요하다. 그 어떤 사업이던 간에 100% 회사 자본으로 운영되는 곳은 없다. (물론 있을 수도 있겠지만 대부분의 회사라면 부채는 어느 정도 있다). 즉 자산을 본다면 무조건 자본+부채이다. 예를 들면 어떤 식품회사가 있는데 들어간 자본이 200억 부채가 100억이며 총자본은 300억이라고 보면 된다. 자 그럼 운영할 자산도 있으니 회사가 1년 동안 영업을 통해 약 100억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생각해보자. 매출원가를 15억이라 책정하고 그럼 매출원가를 뺀 영업 이익은 85억 정도가 나온다. 영업 이익에서 판매비와 관리비가 약 20억 가까이 들었으며..

대표적인 위험성 자산 <주식>

주식이란 무엇인가? 회사가 자금 조달을 위해 발행하는 증서이며, 이 증서를 산 사람들은 투자자라고 불린다. 실제로 투자자들은 주식을 사는 것 자체로 그 회사의 주주가 되며 회사에 대한 책임과 권리를 얻는다. 또한 자신의 지분율이 많을수록 영향력은 커지며 실제로 주주라는 이름답게 영어권에서는 share(나누다)+holder(소유권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는 shareholder가 쓰인다. 그럼 주식과 채권의 차이는 무엇일까? 채권은 부족한 자금을 빌려 쓰는것이며 자금을 조달받은 기관 혹은 개인들에게 반드시 이자와 원금을 합쳐 약속된 기간 안에 지불해야 한다. 주식은 회사에 투자를 받는 것이며 투자받은 돈을 갚을 필요는 없으나 회사에 일정 부분 이익이 생기면 배당금을 지급하기도 하고 이익과 실적을 통해 오른..

금 아름답게 빛나는 현물 자산

금이라 하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꾸밀 때 쓰이는 액세서리? 영화에서 도둑들이 훔칠 때마다 보이는 골드바? 금이라는 말만 들어도 엄청나게 귀중한 물건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사실이 맞다 오늘은 현물로 하는 재테크 수단 중 가장 보편적이고 유명한 금에 대해 알아보자. 금 그냥 간단히 설명하자면 빛나는 노란 금속이다. 채권이나 예금 처럼 이자를 주지도 않는데 왜 우리는 금을 이용해서 재테크를 할 수 있다고 말하는 걸까? 금은 역사적으로 화폐 및 자산으로써 사용되어 왔다. 특히 특유의 아름다움 때문인지 장신구들에도 주로 쓰이는 편이다. 금은 현재는 화폐로는 사용 되지 않고 자산으로 써만 취급받지만 1900년대까지만 해도 미국의 달러는 금으로 교환해 주겠다는 일종의 보증수표였다. 다시 말하면 세계 경제는 금을..

재테크의 기본이자 기초 예적금

오늘 주제는 드디어 처음으로 쓰는 재테크 콘텐츠입니다. 재테크 영어로는 간단하게 investment라고 불리는데요. 간단하게 말해 가지고 있는 자금을 통해 자산이나 자본을 만들어 수익을 내는 행위를 말합니다. 투자라고도 하지요 투자라는 방향에는 위험성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과 안전성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위험성 투자는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지만 그만큼 손실도 많이 발생할 수 있는 쉽게 설명하자면 high risk high return입니다. 안전성 자산은 그 반대겠지요? 서론은 여기까지 하고 오늘 소개해드릴 안전성 자산 예적금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위 사진을 보면 어느 장소가 떠 오르시나요? 네 맞습니다 은행입니다 은행이라는 기관은 주로 금융업무를 담당하는 곳으로 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