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다양한 자산들에 대해 설명해왔다. 채권, 금 그리고 주식 등 지금까지는 우리가 잘 알고 있고 개별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자산들에 대해 알아왔다. 오늘 새롭게 설명할 펀드는 약간 쫌 다르다.
펀드란 무엇인가?
일단 기본적으로 펀드는 본인이 직접 투자할 종목 혹은 채권을 고르지 않는다. 그럼 어떻게 투자하는 상품일까? 일단 우리 같은 개인 투자자들이 종목 선택이 어렵고 어떤 채권을 고를지 어려울 때 편하게 투자하는 방법이 있다. 바로 투자 전문가에게 자산운용을 맡기는 것. 펀드가 바로 그런 상품이다. 평이 좋고 수익률이 꾸준한 자산운용회사에서 여러 투자자들로부터 투자금을 받은 뒤 그 돈으로 주식 혹은 채권 등에 간접투자하는 게 바로 펀드다.
채권에는 어떤 종류가 있나요?
엄청나게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보통 어떤 자산에 투자하는지 앞에 붙이고 그 뒤에 펀드를 붙이는 식이다. 예를 들면 주식에 대부분을 투자하면 주식펀드. 부동산에 투자하면 부동산펀드 이런 식으로 말이다.
특수한 구조의 펀드
펀드에는 특수한 구조를 가진 펀드들이 몇개 존재한다. 우선 특정 주식의 가격이나 주가지수에 연동하여 수익이 결정되는 유가증권인 ELS (Equity Linked Securities: 주가연계 증권)에 주로 투자하는 펀드다. 이 ELS펀드의 가장 큰 특징은 문제 될 수 있는 종목들은 제외된다 (예를 들면 적자 기간 몇 년, 자본잠식 등).
펀드의 장점은?
가끔씩 투자를 하다가 정말 좋은 종목을 찾았는데 주가가 너무 높아 못 샀던 적이 있지 않았는가? 아무리 봐도 좋은 기업의 주식인데 주가가 너무 비싸서 주식분할 하기만 혹은 주가가 내려가기만 기다릴 필요 없이 투자할 수 있게 해 주는 게 바로 펀드다. 단점으로는 펀드에 가입하면 그 외에 다른 종목에도 투자해야 한다는 점이 있지만 그래도 소액으로 좋은 종목들을 투자 할수 있게 해주는게 펀드다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펀드의 장점을 가장 쉽게 설명한 문구다. 투자를 하면 좋은 종목을 찾으면 적은 몇 개로도 좋은 수익을 내겠지만 손실이 났을 때 그 손실을 방어해줄 수 있는 게 바로 분산투자다. 전혀 다른 자산들, 다른 종목들 등 여러 가지 자산에 투자해 손실을 최소화 하는 투자 방법이다. 펀드는 여러가지 자산에 투자하는 상품이기에 이 분산투자가 왜 좋은 투자 방법인지 가장 잘 설명하는 상품이다.
펀드의 단점?
단점이라고 해야 할지 모르겠지만 앞서 말했던 분산투자가 오히려 단점이 될 수가 있다. 수익성에 대한 단점이 아니라 종목 선정에 관한 단점이다. 분산투자는 중요하지만 그 분산투자를 하면서 어떤 종목에 투자할지 계속 찾아보고 분석하면서 좋은 종목을 선정하는 방법을 알아가는 건데 그게 애당초에 잘 안되거나 찾아도 마음대로 비중 조절을 못한다. 아 물론 종목 분석할 시간이 적으면 차라리 펀드가 낫다.
오늘은 펀드의 기본 지식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시간에는 펀드를 알아야 이해할 수 있는 etf에 대해 알아보자
'티아고의 재테크 > 금융 과 주식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떤 제품을 만들때 쓰이는 재료 <원자재> (6) | 2022.03.05 |
---|---|
실시간 매매가 가능한 펀드 <ETF> (3) | 2022.03.04 |
미래를 예측하는 <선물거래> (9) | 2022.03.02 |
실현손익 했으면 세금 내야지? <양도소득세> (4) | 2022.03.01 |
주식을 사와서 태운다고?? <자사주소각> (3) | 2022.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