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아고의 재테크/금융 과 주식 정보

주가가 두배에 상한가 까지? 주식 시장의 신조어 <따상>

티아고 2022. 2. 24. 10:50
반응형

따상을 알려면 공모주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신조어인 따상을 만들어낸 주 원인? 공모주와 공모주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 보도록 하겠다.

 

모두에게 주어지는 기회 공모주

앞선 시간에 주식시장에 새로운 기업이 상장하는 과정인 기업공개 그리고 상장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기업이 공개를 하기 위해 거치는 과정 그리고 상장후 시장에 미치는 영향등을 말이다. 오늘은 이 공모주 그리고 공모주가 많은 관심을 얻고 주가가 두배에 상한가 까지 친다는 신조어 따상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https://thiago-blog.tistory.com/entry/%EA%B8%B0%EC%97%85%EC%9D%B4-%EC%A3%BC%EC%8B%9D-%EC%8B%9C%EC%9E%A5%EC%97%90-%EC%B2%AB-%EB%B0%9C%EC%9D%84-%EB%93%A4%EC%9D%B4-%EB%B0%80%EB%95%8C-%EA%B8%B0%EC%97%85%EA%B3%B5%EA%B0%9C-%EA%B7%B8%EB%A6%AC%EA%B3%A0-%EC%83%81%EC%9E%A5

 

공모주란 무엇인가?

주식회가가 증권거래법의 규정에 따라 공모증자나 대주주 소유 주식의 일부 매출을 통하여 불특정 다수에게 주식을 분산시키고자 하는 대상이 되는 주식을 말한다. 공모주 청약을 통하여 기업공개를 통해서 매출 혹은 모집되는 주식에 대하여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고객들이 이를 취득하기 위해 청약을 할수가 있다.

 

어떤 공모주에 사람들의 관심이 쏠릴까?

인기가 많을수록 돈을 더 번다는 말이 있다. 주식시장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여러분이 잘 알고 있고 돈도 잘 버는 기업인데 회사가 상장을 안 했을 가능성이 있을까? 있다. 많지는 않지만 있기는 하다. 만약 이 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기로 마음먹고 상장 한다고 하고 기업 공개를 하면 실제로 상장하는건 웬만한 내부사정이 있지 않은 이상 가능한 일이다. 이런 기업이 상장을 한다면 투자자들의 관심은 당연히 이 쪽으로 쏠릴수 밖에 없다.

 

공모가와 시가의 차이

공모가는 주식시장에 처음으로 상장을 할때 결정되는 가격이다. 주식 청약에서 만일 청약으로 1주를 배당 받으면 공모가로 1주를  사게 되는것이다. 자 그럼 시가는 다들 알고 있다 싶이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이다. 공모주가 처음으로 거래가 시작되는 날에 시초가 라는게 형성이 되는데 바로 시장에서 처음으로 거래되기 시작하는 가격이며 주로 공모가의 90%~200% 사이대로 형성이 된다.

 

사진 출처 https://www.pexels.com/ko-kr/

 

자 여기서 우리는 따상중 따에 대한 힌트를 얻었다 바로 더블(따블). 공모가가 200%된다면 이게 바로 더블을 뜻하는것이 아닌가. 사실은 이 주식이 어떤 종목인지 매출은 어떻고 재무상태 그리고 투자자들에게 얼마나 인기가 있냐에 따라 다르게 책정이 되겠지만. 결론적으로 2배라는 배수가 공모가에 있어서는 최고의 가격이란 뜻이다.

 

그럼 따상에서 상은 뭐야?

앞서 설명했던 국내시장에서는 상한가와 하한가의 제한을 30%로 두고 있다 이 수치를 넘으면 해당 주식에 대한 거래가 일시 정지 된다. 자 그럼 앞서 말한 공모주가 상장을 할때 더블을 쳤고 그 인기가 계속 지속되어 첫 상장 날에 최고 상한가를 쳤다면? 그렇다 더블한 가격에 30%인상된 주가로 마무리를 치게 되는것이다. 우리는 이것을 따상이라고 부른다.

 

자 그럼 따상의 기본적인 예를 들어보자 공모가 20만원인 주식이 따상을 치면 얼마가 될까? 우선 20만원이 두배가 되니 40만원이 될것이다. 여기에 40만원에 30%를 더한가격 40만*130%는? 52만원의 주가로 마무리 하게 되는것이다. 

 

이 상한가가 이틀연속으로 된다면 따상상이 되는것이다. 3일연속으로 하면 따상상상 일려나? 

 

오늘은 공모주,공모가 그리고 따상에 관하여 알아 보았다. 다음에는 주식시장에서 항상 논란이 되고있는 물적분할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반응형